목요일, 10월 16, 2025
spot_img
HomeWorld한국 여의도 53배 산림 잿더미…22년만에 최대 피해(종합)
spot_img
spot_img

[동해안 산불] 여의도 53배 산림 잿더미…22년만에 최대 피해(종합)

1만5천420ha 산림 피해…463개 시설 소실, 7천330명 대피, 인명피해는 없어

헬기 106대·차량 854대·인력 1만8천954명 투입…특별재난지역 선포

피해면적 2000년 이후 최대…올들어 산불 발생 작년 2배 육박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동해안 산불로 인해 6일 오후 6시까지 1만5천420ha의 산림 피해(산불영향구역 면적)가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윤중로 제방 안쪽 면적)이 53개가량 모인 규모다. 축구장 면적(0.714㏊)으로 따지면 2만1천597배에 달한다.

울진 1만2천695ha, 삼척 656ha, 강릉 1천825ha, 동해 169ha, 영월 75ha 등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울진 388개, 강릉 12개, 동해 63개 등 463개 시설이 소실됐다. 울진과 동해에서 각각 261개, 62개 주택이 소실 피해를 봤다.

산불로 인해 4천635세대 7천330명이 대피 중이다. 울진·삼척 4천150세대 6천497명, 동해 362세대 688명 등이 대피하고 있다.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경상북도-강원도지역 산불대응 중대본회의 주재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경상북도-강원도지역 산불대응 중대본회의 주재(서울=연합뉴스) 이승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5일 정부세종2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경북-강원지역 산불대응을 위한 중대본 영상회의(산림청, 경북도, 강원도, 기상청, 소방청 등)를 주재하고 있다. 2022.3.5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임시 주거시설은 공공시설, 마을회관, 경로당 등 19개소가 마련돼 있는데, 408세대 455명이 머무르고 있다.

중대본은 울진 15명, 삼척 7명, 동해 6명 등의 상담사를 파견해 재난 피해자를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심리 상담을 198회에 걸쳐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화재 진압에는 이날 오후 4시를 기준으로 106대의 헬기, 지휘차·진화차·소방차 등 854대의 차량이 활동하고 있다. 소방·경찰·해경·군인과 공무원 등 1만8천954명의 인력이 투입됐다.

동해안 산불을 경북 울진~강원 삼척 산불과 강원 강릉~동해 산불로 나누면 모두 7개의 산불이 진행 중이다. 이들 지역 외에 강원 영월, 부산 금정, 경기 안산, 대구 달성, 경남 산청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행정안전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지난 5일까지 발생한 산불은 모두 245건으로, 작년 동기(126건)보다 94.4%나 많아 2배에 육박했다.

최근 3년(2019~2021년) 평균인 135건과 비교하면 87.7% 많다.

재난구호쉘터 설치된 대피소
재난구호쉘터 설치된 대피소(울진=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경북 울진에서 시작해 강원 삼척까지 확산한 산불이 사흘째 지속된 6일 경북 울진군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대피소에 재난 구호 쉘터가 설치돼 있다. 2022.3.6 jeong@yna.co.kr

중대본은 “헬기와 인력 등의 배치 지원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고 이재민 주거대책과 지자체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야간 산불 대응을 위한 진화계획을 수립해 집중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경북 울진군과 강원 삼척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대형 산불로 인해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한 것은 2000년 동해안 산불(4.7.~4.15.), 2005년 양양산불(4.4.~4.6.), 2019년도 강원 동해안 산불(4.4.∼4.6.)에 이어 이번이 4번째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정부는 산불로 인해 피해를 본 주택 등 사유시설과 공공시설에 대한 복구비 일부를 국비로 지원하는 한편 피해 주민에게 생계구호를 위한 재난지원금을 지원한다. 또 지방세 납부유예, 건강보험·전기·통신·도시가스요금·지방난방요금 감면 등의 혜택을 부여한다.

[그래픽] 역대 주요 대형 산불
[그래픽] 역대 주요 대형 산불(서울=연합뉴스) 김영은 원형민 기자 = 지난 4일 발생한 동해안 산불이 피해면적에서 역대 두번째 규모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피해가 컸던 산불은 2000년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이번 산불은 이후 22년간 발생한 산불 중 피해 규모에서 최대였다.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정부는 강릉, 동해 등 다른 피해지역에 대해서도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산불은 관련 통계가 있는 1986년 이후 피해면적 기준으로 두번째 규모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역대 가장 피해가 컸던 산불은 2000년 동해안의 강원도 삼척 등 5개 지역에 거쳐 발생한 산불로, 피해 면적이 2만3천794ha에 달했고 360억원의 피해액을 발생시켰다.

그 다음이 현재 진행 중인 이번 산불이며 3번째는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해 피해 면적이 3천762ha에 달했던 지난 1996년(4월23~25일) 산불이었다.

망연자실
망연자실(울진=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경북 울진에서 시작해 강원 삼척까지 확산한 산불이 사흘째 지속된 6일 경북 울진군 신화2리 화재현장에서 한 주민이 화재로 무너져내린 자신의 집을 바라보고 있다. 2022.3.6 jeong@yna.co.kr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spot_img
spot_img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뉴스 더보기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기획
spot_img
spot_img
부동산
Opinion
English
기획

People

종교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spot_img
crossorigin="anonym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