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선거감시단, 26일 워싱턴 DC에 있는 내셔날 프레스클럽에서 기자회견
국제선거감시단((International Elction Monitoring, IEMT)이 26일 오전 11시 워싱턴 DC에 있는 내셔날 프레스클럽 젠거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 6.3 대선에서 벌어진 부정선거 정황을 폭로했다.
이날 기회견에는 트럼프 행정부 1기시절 국제형사 재판 담당 특사를 지내고 북한 및 인권 문제 전문가인 모스 탄 전 대사를 비롯, 중국 위협 대응위원회 소속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 출신인 존 밀스 퇴역 육군 대령, 브래들리 싸이어 시카고대학 정치학 박사, 미 육군 대령 출신인 그래트 뉴셤 박사 등 감시단 일행과 한국에서는 민경욱 전 의원 등이 함께 자리했다.
이들 국제선거감시단은 부정선거는 국가에 중 대한 위협인 동시에 용납될 수 없는 범죄라고 강조했다.
지난 6.3 한국 대선에 관해서는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간 통계적 격차, 전자개표 시스템의 보안 및 투명성 결여, 투표용지 처리와 이송과정의 절차적 문제, 시민 주도의 선거 참관 활동에 대한 방해 사례 등 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랜트 뉴 박사와 민경욱 전 의원은 봉인지 훼손, 신권 상태의 접히지 않은 투표지, CCTV 사각 지대, 참관 방해 사례, 그리고 선관위 발표 수치가 현 장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 점 등을 지적하며 철저한 검증 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모스 탄 전 대사는 2020년 미국 대통령선거와 6.3 한국 대통령선거를 비유하면서 두 선거 모두 중국 등 이 개입된 부정선거 확률이 높다며, 사전투표와 당일 투표에서 나타난 큰 폭의 격차는 이해하기가 아주 어렵다면서, 투표 시스템 내 구조적 결함 또는 조작 가 능성을 강하게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전세계적 부정선거의 사례는 이라크, 콩고, 에콰도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데, 이번 6.3 대선도 이와 유사한 발견을 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존 밀 스 퇴역 육군 대령은 이번 선거의 사전투표 시스템과 개표 과정 전반과 관련해 의혹과 제보가 너무 많다며 전반적인 기술 분석과 조사가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동북아 안보전문가 ‘고든 창’의 사회로 약 2시간 가까이 진행됐으며, 회견장 밖에서는 세이브코리아 워싱턴 DC, 한미연합회, 한미자유연맹 등 보수단체 관계자들이 부정선거 척결을 주장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국제선거감시단은 지난 5월 2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에 입국했다.
감시단은 트럼프 행정부 내 전략, 외교, 사이버 보안을 담당하는 실무진과 국제 인권 전문가, 군 관계자들로 구성됐다.
당시 감시단 도착 소식을 접한 수백 명의 시민들이 인천국제공항에 모여 감시단을 환영하며 장관을 연출했었다. 현장 분위기는 매우 뜨거웠고, 감시단 도착을 생중계한 ‘학생의 목소리 TV’ 등 유튜브 채널은 동시 접속자 1만 명을 돌파하며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감시단은 선거 기간 동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방문, 사이버 보안 점검(사전투표 서버, 전자투표기, 폐쇄망 등), 대선 후보 인터뷰, 국회 기자회견, 시민단체 및 청년단체 간담회 등 다양한 일정을 진행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국제선거감시단의 공식 감시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감시단은 예정대로 압국해 자체적으로 감시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트럼프 행정부, 유엔, 그리고 국제사회에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유진 리 대표기자>